통합방송 시스템 라이브 스트림 (livestream) 살펴보기..!!





2015년 2월 비디오 아트에 제가 기고하여 게제한 글입니다.



올인원 통합 방송 솔루션 라이브 스트림

 

주요 특징


입출력, 녹화, 미디어 플레이어, 자막기, 멀티뷰등 모든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장비

HD/SD-SDI, HDMI 입출력

3채널, 5채널, 17채널등 다양한 장비로 구성

크로마키를 이용한 가상 스튜디오

방송급 화질 녹화

비디오 오디오 스위쳐

 

라이브 스트림 제품은 통합방송장비로 비디오스위쳐, 오디오믹서, 미디어플레이어, 녹화기, 자막기, 인코딩 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한 장비로, 방송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들까지 포함하고 있어서 별도의 장비들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인터페이스 화면구성


 

  1. Streaming : 스트리밍 송출버튼

  2. Recording : 녹화 버튼

  3. Preview : 입력되는 화면중 송출 직전의 화면으로 미리보기 화면

  4. Program : 실제 방송이 송출되는 화면

  5. Transition : 장면전환 및 자막 삽입/삭제를 할 수 있는 제어창

  6. 입력화면 : 각각의 입력되는 화면과 미디어, GFX등의 소스를 실시간으로 확인

  7. Audio Mixer : 입력되는 오디오를 믹싱하기 위한 제어창으로 각각의 채널별로 제어가 가능

  8. Input Setting : 입력되는 비디오 설정 및 컨버팅, 딜레이등의 설정

  9. AUX output : AUX 출력제어를 위한 설정 창

  10. GFX : 자막 및 오버레이, 크로마키 작업을 위한 설정

  11. Media : 시스템에 내장되어 있는 비디오로 대부분의 영상을 플레이 할 수 있다

  12. Stream : 인터넷방송 방식 및 서버 설정

  13. Treansitions : 트랜지션 효과 선택

  14. 선택된 기능에 따른 효과 및 내용 선택 화면

  15. 선택된 기능에 따른 효과 및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미리보기 화면



다채널 입력 및 비디오 스위칭

 

 

다채널 화면 및 스위쳐

 

 

트랜지션 효과



여러대의 SDI (HDMI) 카메라 및 미디어소스 등 모든 채널의 스위칭이 가능하며, 다양한 트랜지션 효과를 제공한다. CUT AUTO로 전환효과 적용이 가능하며, 전환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고, 화면을 클릭하거나 키보드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입력소스 컨버팅

 

 

입력되는 소스가 각각 다른 해상도를 가지더라도 컨버터 기능을 이용하여 동일한 해상도의 영상으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각기 다른 카메라를 가지고 있더라도 별도의 컨버터를 쓰지 않아도 된다.



오디오 믹서

 

 

각 채널별로 입력되는 오디오는 설정을 통하여 음량 조절, 송출 등이 가능하다. 별도의 버튼을 통하여 시스템상에서 소리를 들을 수 있으며, 채널 이동에 따른 이동, 또는 특정 채널의 오디오를 고정할 수 도 있으며, 마스터 볼륨, 스트림 볼륨도 각각 제어가 가능하다.

 

오디오 딜레이

 

 

 

 

 

 

입력되는 오디오와 비디오 신호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도록 고급 오디오 믹서에서 제공하는 딜레이가 제공된다.


 

멀티스크린



   

기본적인 인터페이스에 모든 채널의 영상 및 프리뷰, 프로그램을 볼 수 있으며, 별도의 모니터 (듀얼 모니터 기능)를 이용하여 원하는 스타일에 맞는 멀티뷰를 구성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프리셋(전체화면, 4분할, 9분할, 16분할 등)을 제공하며, 각각의 위치에 원하는 영상 또는 데이터를 볼 수 있도록 조정이 가능하고, 해당 기능은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하여 손쉽게 구성할 수 있다.


 

PIP 및 크로마키



 

 

멀티 레이어를 지원함으로써 입력되는 여러 개의 채널의 화면을 동시에 내보낼 수 있습니다. 이때 입력되는 영상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부분을 잘라내서 원하는 위치의 영상만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오버레이를 이용하여 크로마키 합성 작업이 가능하다. 크로마로 촬영되는 입력을 오버레이 트랙으로 추가하고 설정을 이용하여 적용하면 그린 또는 블루와 같이 크로마로 촬영된 배경을 없애준다.



 

문자 자막기

 

 
 ​
 

방송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자막 삽입이 가능하다. 그래픽 이미지를 활용할 경우 방송 전에 미리 준비를 해 놓고 적용을 할 수 있다. 3개의 GFX 채널을 제공하고, 각 채널별로 다양한 자막을 미리 준비해 놓고 사용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폰트, 크기, 색상등의 조절이 가능하고, 이미지와 합성하여 다양한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추가로 제공되는 시계 (타이머, 카운트다운)를 이용하여 시간을 보여주거나 카운트다운을 할 수 있다.

 

 

 미디어 플레이어

 

   

생방송에서 자료화면과 같은 별도의 미디어를 보여주고자 하거나, 미리 준비된 영상을 가지고방송을 할 경우에 사용하게 된다. 디스크 내부에 있는 영상은 미리 불러오기를 통해 트랜스코딩을 마쳐야 방송이 가능하다. 준비되어 있는 미디어의 경우 전체 재생을 하거나, 일부 구간만 추출하여 방송을 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미디어 파일을 준비하여 순차재생을 하거나 하나의 영상을 계속 송출 하도록 리플레이 재생이 가능하다.



 

리모트 카메라

 

 

라이브 스트림은 기본적인 카메라 신호와 별개로 네트워크를 통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받을 수 있다. 동일 네트워크상에 있는 컴퓨터, iOS 장비, 안드로이드 장비, 라이브 캐스터등의 장비에서 보내는 영상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 받은 영상은 카메라에서 입력받는 영상과 동일하게 스위쳐를 이용해 선택하고 송출에 활용할 수 있다.



 

미디어 레코딩



 



라이브 스트림은 기본적으로 송출되고 있는 영상을 H.264 코덱을 이용하여 녹화할 수 있으며, 입력되는 모든 채널의 원본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녹화 되는 영상은 두가지 모드 중 선택하여 녹화할 수 있는데 Dirty 모드는 자막이나 오버레이등의 최종 출력물을 녹화하게 되며, Clean 모드는 원본 영상만을 녹화한다.



 

인터넷 스트리밍

 

 

인터넷 방송을 쉽고 편리하게 하기위해 LivestreamUstream, 유투브의 경우에는 간단히 로그인 만으로로 프로그램 안에서 이벤트까지 생성이 가능하고 바로 인터넷방송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별도의 서버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위해 RTMP 프로토콜 전송을 지원하며, Adobe Flash Media Server, Wowza, Zixi, Akamai 등의 서버를 지원한다.





0/3500 secret